EPSG 코드는 "European Petroleum Survey Group"의 약어로, 지리적 위치를 위도와 경도로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코드입니다.

이 코드들은 특정 지리적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좌표계와 지도 투영법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.

예를 들어, 가장 널리 사용되는 EPSG 코드 중 하나는 "EPSG:4326"로, WGS 84 좌표계를 나타냅니다.

이 좌표계는 세계적으로 GPS 기술에 사용되며, 위도와 경도를 이용하여 지구상의 위치를 정의합니다.

EPSG 코드는 지리 정보 시스템(GIS), 웹 매핑, 지리적 데이터 처리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, 데이터가 어떤 좌표계를 사용하는지 명확하게 식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.


WGS 84 (World Geodetic System 1984) 좌표계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지리 정보 시스템(GIS),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(GPS), 및 다양한 지리적 데이터 표현에 사용되는 표준 좌표계입니다.

주요 특징과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:

1. 글로벌 참조 시스템 :

    WGS 84는 지구의 형태를 대략적으로 모델링하는데, 이 모델은 지구를 약간 평평한 회전 타원체로 간주합니다.

2. 위도와 경도 :

    이 시스템은 지구상의 어떤 위치도 위도와 경도를 사용하여 정의합니다.

    위도는 적도로부터 북쪽이나 남쪽으로의 각도를,

    경도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동쪽이나 서쪽으로의 각도를 나타냅니다.

3. 고도 :

    WGS 84는 또한 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나타내는 고도(또는 상승) 측정값도 포함합니다.

4. GPS 사용 :

    WGS 84는 GPS 기술의 기본 좌표계로 사용됩니다.

    전 세계의 위치는 이 좌표계를 기준으로 측정되고 표현됩니다.

5. 국제 표준 :

    다양한 국제적, 지역적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며,

    세계적으로 일관된 위치 정보의 교환과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.

6. 정확성과 일관성 :

    WGS 84는 지리적 위치를 정의하는 데 있어 일관성과 정확성을 제공합니다.

    이는 전 세계적으로 지리적 데이터가 서로 호환되고 비교 가능하도록 합니다.

이러한 특성 때문에 WGS 84는 지리학, 항공, 해양학, 그리고 다양한 과학적 및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
 

EPSG 4326와 EPSG 5179은 지리적 위치 데이터를 위한 좌표계를 정의하는 EPSG 코드입니다.

각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:

1. EPSG 4326 (WGS 84 좌표계)

● 정의 :

   WGS 84 (World Geodetic System 1984)은 글로벌 참조 시스템으로, 지구를 약간 평평한 회전 타원체로 간주하는 모델을 사용합니다.

● 좌표 체계 :

   위도와 경도를 사용하여 지구상의 위치를 정의합니다.

   위도는 적도로부터 북쪽이나 남쪽으로의 각도, 경도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동쪽이나 서쪽으로의 각도를 나타냅니다.

● 용도 :

   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며, 특히 GPS 기술에 기본적으로 적용됩니다.

2. EPSG 5179 (Korea 2000 / Unified CS)

● 정의 :

   이 좌표계는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며, Korea 2000 지리적 기준 시스템에 기반합니다.

● 좌표 체계 :

   이것은 UTM (Universal Transverse Mercator) 및 TM (Transverse Mercator) 투영 방식을 사용하는 좌표계입니다.

   이러한 투영법은 지구를 2D 맵에 표현할 때 특정 지역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

● 용도 :

   주로 한국 내에서 지리적 데이터와 위치 서비스에 사용됩니다.

   이 좌표계는 한국의 지리적 특성을 더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

요약하자면,

EPSG 4326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글로벌 참조 시스템이며,

EPSG 5179는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특화된 좌표계입니다.

두 시스템은 각기 다른 투영 방식과 목적으로 사용되며, 지리적 데이터의 정확성과 적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선택됩니다.

'잡동사니 > G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지리정보 시스템] TM 좌표란?  (0) 2024.01.25

"TM좌표"는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좌표 체계의 하나입니다.

TM은 'Transverse Mercator'의 약자로, 이는 지구의 표면을 투영하여 만든 지도의 좌표 체계 중 하나입니다.

TM좌표 체계는 주로 한국에서 위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,

경위도 좌표 체계와는 다른 방식으로 지구의 표면을 2차원 평면에 표현합니다.

이 체계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합니다.

한국에서는 특히 도시 계획, 지도 제작, GPS 기기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, 국토의 정밀한 관리와 계획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이 좌표 체계는 한국의 지리적 특성에 맞게 조정되어 있어, 한국 내에서는 매우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합니다.

TM 좌표 체계에서의 좌표 예시

TM 좌표는 일반적으로 두 숫자, 즉 동서 위치를 나타내는 'Easting' 값과 남북 위치를 나타내는 'Northing' 값으로 구성됩니다.

이 숫자들은 미터 단위로 표시되며, 특정 지점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냅니다.

예를 들어, 서울의 어느 지점에 대한 TM 좌표가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.

  • Easting: 198,345
  • Northing: 544,123

여기서,

'Easting' 값은 기준점으로부터 동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미터 단위로 나타내고,

'Northing' 값은 기준점으로부터 북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.

TM 좌표는 지리적 위치를 매우 정밀하게 나타낼 수 있어 지도 제작, 토지 관리, 건축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됩니다.

TM좌표를 위도와 경도로 변환하는 Python 소스 코드

이 코드는 TM좌표 (Easting: 198,345, Northing: 544,123)를 위도와 경도로 변환합니다. 변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위도 (Latitude): 약 21.6824도
  • 경도 (Longitude): 약 123.0964도

이 결과는 한국의 TM좌표 체계를 기반으로 하므로, 다른 지역의 TM좌표 체계를 사용할 경우 EPSG 코드를 변경해야 합니다.

#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임포트합니다.
from pyproj import Proj, transform

def convert_tm_to_wgs84(easting, northing):
    """
    TM좌표를 위도와 경도 좌표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.
    
    파라미터:
    - easting: TM좌표계에서의 Easting 값 (미터 단위)
    - northing: TM좌표계에서의 Northing 값 (미터 단위)

    반환값:
    - (longitude, latitude): 변환된 위도(longitude)와 경도(latitude) 좌표
    """
    # 한국 TM좌표 체계의 EPSG 코드는 5179입니다. 이 코드는 한국 지역의 TM 좌표 체계를 나타냅니다.
    # WGS84 좌표계의 EPSG 코드는 4326입니다. 이 코드는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지리 좌표 체계를 나타냅니다.
    tm_proj = Proj('epsg:5179')
    wgs84_proj = Proj('epsg:4326')

    # TM좌표를 WGS84 좌표계(위도, 경도)로 변환합니다.
    # transform 함수는 첫 번째 파라미터로 원본 좌표계, 두 번째 파라미터로 목표 좌표계를 받습니다.
    # 이후 변환할 x(동서 방향 좌표), y(남북 방향 좌표) 값을 넘겨주면 변환된 좌표를 반환합니다.
    longitude, latitude = transform(tm_proj, wgs84_proj, easting, northing)

    return longitude, latitude

# 예시 TM좌표
easting = 198345
northing = 544123

# 함수를 사용하여 TM좌표를 위도, 경도로 변환합니다.
longitude, latitude = convert_tm_to_wgs84(easting, northing)

# 변환 결과 출력
print("변환된 위도: ", latitude)
print("변환된 경도: ", longitude)

'잡동사니 > G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지리정보 시스템] EPSG 코드란?  (0) 2024.01.25

+ Recent posts